데우라리 4

8일차(1.15) ABC ㅡ 아래 시누와

히말라야 트레킹(2018.1.8~1.31) 안나푸르나 트레킹 ▼ 8일차(1.15) ABC ㅡ 도반 ㅡ 뱀부 ㅡ 아래 시누와 지난 밤은 악몽과 같은 밤을 보낸다. 초저녁부터 두통이 약간 있었으나 저녁 식사는 잘 마치고 일찍 잠자리에 들어 2시간 정도는 잠이 들었으나 이후 비몽사몽의 연속이다. 깜박 잠이 들려고하면 호흡 곤란으로 깜짝 놀라 깨곤 하기를 수차례~~ 복식호흡을 하여야 숨을 겨울 쉴 정도이다. 아주 괴로운 밤이다.이런 상태로는 EBC트레킹은 포기하지 않을까 걱정도 된다.고통 속에도 아침은 오고 안나푸르나의 일출을 맞는다. 6시 30분 에 기상하여 안나푸르나 1봉과 마차푸차레의 해돋이를 감상하면서 사진으로 담는다. 박영석과 지현옥 추모비에서 추모를 하고 롯지로 돌아와 아침 식사을 한다. 아침 메뉴 ..

7일차_1(1.14) 데우라리 ㅡ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ABC)

히말라야 트레킹(2018.1.8~1.31) 안나푸르나 트레킹 ▼ 7일차(1.14) 데우라리 ㅡ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MBC) ㅡ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ABC) 이동 거리 6.9km 이동시간 6h 상승고도 940m 지난 밤의 잠자리는 다소 불편했다. 산소가 희박해서 잠이 푹 들지 않고 자다 깨기를 반복하는데 날이 밝는다. 아침을 우유와 토스토로 해결한다. 드디어 1차 목적지인 안나푸르나 베이스 캠프(Annapurna Base Camp - ABC 4,130m)에 도착하는 날이다. 4년 전 중국의 하바설산(5,396m)을 등반한 경험이 있기에 특별히 고소약은 먹지 얺고 견디기로 한다. 8시 30분에 데우라리(Deurali 3,230m)를 출발한다. 오늘은 산행 거리는 짧지만 고도를 많이 높이는 관계로 아주 천..

6일차_1(1.13) 시누와 ㅡ 데우라리

히말라야 트레킹(2018.1.8~1.31) 안나푸르나 트레킹 ▼ 6일차(1.13) 윗시누와 ㅡ 뱀부 ㅡ 도반 ㅡ 히말라야 ㅡ 힌쿠동굴 ㅡ 데우라리 이동거리 10km 소요시간 7h 상승고도 917m 6시30분에 기상하여 아침(시리얼을 탄 우유와 카레스프, 누릉지에 아파미를 넣어 삶음)을 먹고 8시 출발을 한다. 우측 계곡에는 가끔씩 빙하 녹은 물이 폭포를 이루어 힘차게 흘러 내려 가는 소리가 엄청 크게 들린다. Khuldighar(2,540m)까지는 약간 오름막이였다가 밤부(Bamboo 2,30m)까지는 내리막이다. 9시 15분 밤부에 도착한다. 근처에 대나무들이 많이 자생하여 밤부라는 지명이 붙여졌다고 한다. 10분 휴식을 취한 후 도반으로 향한다. 도반(Dova 2,600m)까지는 약간의 오름막을 오른..

4일차(1.11) 고레파니 - 푼힐 - 고레파니 - 추일레

히말라야 트레킹(2018.1.8~1.31) 안나푸르나 트레킹▼ 4일차(1.11) 고레파니 - 푼힐 - 고레파니 - 데우라리 - 반단티 - 타다파니 - 추일레 산행거리 12.8km, 소요시간 8.5h, 고도하강 1,016m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5시10분 일어나 푼힐(Poon Hill 3,193m)에서의 해돋이를 보려 출발한다.(5시40분) 오르는 길은 많은 등산갹들로 인간 띠를 이루어 50분 가량 오른다. 날씨가 추울 것에 대비하여 여벌 옷을 가져 갔으나 별로 춥지 않았고 일출 모습은 기대한 것에는 다소 미치지 못한다. 하산 시간은 30분 정보 소요 되고 숙소에 도착하여(7시 57분) 샌드위치, 수프, 핫 밀크로 아침 식사를 한다. 숙소(THE HUNGRY EYE Guesthouse & Resta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