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나를 찾아 떠나는 명산100(2014)

명산 97 - 마이산 (전북 진안)

상영신 2014. 11. 17. 22:55

일시 : 2014.11.15

장소 : 마이산- 비룡대(527m)

누구랑 : 나홀로

산행경로 : 남부주차장 - 매표소 - 고금당 갈림길 - 비룡대 - 명려각방면 하산-탑영제- 금당사-주차장 (산행시간 2시간 )


<마이산>

마이산은 암마이봉(686m)과 숫마이봉(680m)으로 이루어진 세계 유일의 부부봉으로 세계 최고의 여행안내서인 프랑스미슐랭그린가이드에서 별 3개의 만점을 받아 대한민국 최고의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 숫마이봉은 난코스로 등산이 불가하며, 암마이봉은 식생 복원을 위한 자연 휴식년제(2004년~2014) 실시로 2014년 10월까지 등산로가 폐쇄되었음(참조:진안군청 홈페이지)

마이산 산봉과 유사한 역암으로 된 탑 모양 또는 돔상의 지형은 마이산 동남쪽 약 2㎞ 지점까지 10여 개소가 분포하는데 광대봉, 마두봉, 관암봉, 비룡대, 나옹암 등이 줄지어 있다. 마이산은 백악기의 마이산 역암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산체는 탑처럼 우뚝 솟은 모양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그의 풍화 표면에는 수 많은 풍화혈(tafoni)이 발달하고 있어 학술적인 가치도 매우 크며, 빙정의 쐐기작용에 의해 생성됐다. 부근에는 진안 평지리의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214호)와 마이산의 줄사철나무 군락지(천연기념물 제380호)도 있어 식물상에도 다종다양함을 보여주고 있다.



갑사와 마이산은 탐방한 적이 있으나 산행을 하기는 처음이다. 

이번 탐방은 비룡대가 있는 나봉암이 주 목표이다. 네비를 찍으니 북부주차장으로 안내를 하여 매표소에서 비룡대를 불어보니 이 곳에 주차시키고도 산행이 가능하다고 한다. 무언가 의심쩍어 폰으로 검색하니 금당사에서 출발해야한다고한다. 남부 주차장으로 이동하여 주차 시키고 산행을 시작한다.

금당사 일주문

 테이프 판매점의 스피커 소리가 너무 요란스럽다.  매표소를 지나 상가 입구에서 좌측 계곡으로 오른다

계곡에서 보이는 비룡대

고금당 갈림길의 이정표

마지막 가파른 구간을 10여분 오르면 안부 갈림길에 오른다

안부 갈림길의 이정표

이곳에서 비룡대 방면으로 능선을 따라 오른다. 왼쪽 고속도로를 지나는 차량들의 소음이 차분한 등산을 즐기는 산꾼들에게는 다소 신경에 거슬린다

건너편으로 지붕이 황색으로 채색된 고금당이 보인다. 

뒷쪽에 보이는 산이 광대봉인 모양이다. 안부 갈림길에서 20여분 오르면 전망대가 나오는 데 이 전망대의 현판에 비룡대라 적혀있다.

비룡대에서 조망되는 마이산

비룡대에서 마이산을 배경으로

 비룡대를 배경으로

정자 입구에 나봉암 표지석

20여분 낙엽쌓인 능선길따라 내려가면 이정표가 나온다.

첫번째 만나는 금당사로 하산하는 갈림길 이정표

이 이정표에서 다시 직진을 10여분 직진하면 하산하는 두번째 이정표를 만난다.  


두번째 만나는 탑영재로 하산하는  갈림길 이정표

이곳에서 계곡을 따라 하산한다. 하산 도중에 숲을 관리하기 위한 전기톱소리가 천지를 진동한다. 10여분을 소음에 시달리며 내려오니 큰길과 만난다.

큰 길과 만나는 곳의 이정표

이곳부터는 많은 관광객들로 도로가 붐빈다.  탑영재에는 오리 모양의 보트를 즐기는 관광객들도 보인다.

탑영재 배경으로 마이산이

금당사의 대웅전

금당사 전경

<금당사>

당사(金塘寺)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금당사는 고구려 보장왕 때의 열반종의 종조 보덕화상의 제자인 무상화상과 김취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조선 중기의 지리서에는 금당사의 이름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확실하지 않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마이산에는 상원사, 혈암사, 쇄암사만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바, 이 중 어느 것이 금당사의 전신인지 또 언제 현재의 자리에 건립되었는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금당사는 매우 퇴락하여 1978년에 지장전을 중건하였고 뒤이어 대웅전과 삼성각을 중건하였다. 대웅전은 전면 5칸, 측면 3칸이고 팔작 기와지붕이며, 지장전은 전면 3칸, 측면 2칸이고 맞배기와지붕이며, 삼성각은 전면 3칸 측면 2칸이고 맞배지붕으로 건립되었다. 금당사에는 괘불탱화, 목불좌상, 3층석탑 등 문화재 3점이 소장되어 있다.(참조:위키백과)


금당사를 지나 주차장에 도착하여 탐방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