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암벽등반

15년 만에 다시 찾은 천화대 릿지2

상영신 2023. 8. 26. 11:36

천화대 릿지(중앙), 마등령과 세존봉(우측)

▼ 3봉 하강(23m)

암각에 설치된 하강지점에서 하강을 한다(7:39)

말구 하강 중(7:48)

▼ 3봉에서 4봉(좌 - 동판있는 곳, 우 -드래곤 바위)으로 이동

하강 후 4봉으로 출발한 후 뒤돌아보니 벌써 뒷 팀도 하강 준비를 한다.

3봉에서 하강 중인 뒷 팀과 뒤로 보이는 2봉모습(8:00)

3봉에서 4봉까지는 20여분 이동한다.

이동 중에 구름이 끼면서 조망을 방해한다.

구름이 끼는 칠형제봉
구름으로 덮인 화채능선 좌단부
4봉이 지척에서 조망된다. 좌측은 동판있는 곳이고 우측으로 드래곤 바위가 보인다(8:5)
4봉 뒤쪽으로 보이는 6봉(사선 크랙)과 7봉(왕관봉), 8봉(희야봉)
4봉(동판 있는 곳)에 도착(8:10)
구름으로로 덮인 장군봉
천화대 뒷면으로 보이는 저봉릿지도 구름 속으로 (8:13)
4봉 하강 지점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5봉(노란벽 또는 붉은벽), 6봉(사선크랙), 7봉(왕관봉)

▼ 4봉 하강(23m, 하강용 자일이 설치되어 있음)

기존에 하강용 자일이 설치되어 있으나 우리의 자일을 이용하여 하강한다(8:16)

말구로 하강하는 손회장님(8:23)

▼ 5봉(50m, 5.6)

하강지점에서 곧장 5봉을 등반한다(8:40).

50m 직벽으로 2번에 나누어 자일을 고정시키고 등강기를 이용하여 자기 확보를 하면서 20분 소요되어 등반을 한다. 

직벽을 올라 소나무 중간 뒤로 보이는 확보지점에 접근 중인 선등하는 박선생님(8:46)
직벽 상단부를 등반 중인 선등(8:56)
5봉 등반을 마치고 (9:12)
상단부를 오르는 2구 김선생님(9:05)
하단부를 오르는 말구(8:56)
상단부를 오르는 말구와 뒤따르는 팀의 선등(9:12)
4봉의 후사면 드래곤바위(정면)
상단부는 직등도 가능한데 우측으로 쉽게 오르는 말구(9:18)
유선대와 장군봉, 울산바위는 구름 뒷편으로 (9:12)

▼ 5봉(붉은 바위 밑) 정상에서 보이는 뷰 

지나온 4봉 모습
등반 내내 보여지는 형제봉, 유선대, 장군봉, 울산바위는 구름속으로
정면으로 보이는 6봉(사선 크랙), 뒷쪽의 7봉(왕관봉)
좌측으로 바위를 돌아 만나는 5봉 확보지점 (9:21)

▼5봉 하강(6m)

확보지점에서 기존을 설치된 자일을 이용하여 6m 가량 내려선다.

우리 팀은 그곳에서 우리의 자일로 안전하게 하강을 한다.

6m 클라이밍 다운 구간(9:26)
5봉을 1구로 하강하는 김선생(9:27)
2구로 하강 하는 박선생님 (9:31)
상단부 6m를 내려와서 하강 대기중인 말구 손회장님(9:34)
하단부를 하강 하는 2구(9:34)
하단부를 하강하는 말구(9:43)

▼ 5봉에서 6봉(사선 크랙)으로 이동

5봉 하강한 다음  숲길을  50m 지나면 만나게 되는 쉬운 크랙(30m)을 오르고 100m 정도의 암릉을 지나면 30분 만에 사선 크랙 하단에 도착한다

멀리 애벌레 처럼 생긴 달마봉과 권금성, 망군대(9:51)
뒤돌아본 4봉, 5봉(뒷팀도 정상에) 모습(9:56)
암릉 구간을 오르는 말구(9:56)

 

사선 크랙 직전의 작은 암봉을 우회하는 말구(10:01) - 직등하여 이동 가능

▼ 6봉(30m, 5.8, 사선 크랙) 등반

이곳에서 많이 정체되는 구간인데 우리팀은 선두이기에 쉼 없이 등반을 한다.

선등 등반 중 (10:17)
상단부를 오르는 선등
2구로 오르는 김선생님(10:31)
10:41
말구 등반 (10:48)
사선크랙 확보 지점에서 내려다 본 천화대 릿지(10:48)

확보지점에서 왼쪽 나무를 이용하여 5m를 더 오르면 6봉 하강지점이 나온다.(왼쪽 바위쪽을 오르면 또 하나의 하강지점이 있다)

 

  이전 사진 보기                                                                       다음 사진 보기